06. 윤리강령의 목적 및 책임과 의무
(1) 개요
산업위생전문가는 사업장 내에 존재하는 물리적, 화학적, 생물학적, 인간공학적 및 사회ㆍ심리적 유해요인의 정상적 유무를 판단할 학문적 배경과 경험은 물론 이를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. 또한 기업주와 근로자 사이에서 엄격한 중립을 지켜야 한다.
(2) 산업위생 분야 종사자들의 윤리강령(미국산업위생학술원, AAIH) : 윤리적 행위의 기준
① 산업위생전문가로서의 책임
㉠ 전문적 능력 배양 및 성실한 자세로 행동
㉡ 객관성을 유지, 공인된 과학적 방법 적용, 해석
㉢ 산업위생을 학문적으로 발전
㉣ 과학적 지식을 공개하고 발표
㉤ 산업위생활동을 통해 얻은 기밀을 비밀유지
㉥ 이해관계가 있는 상황에는 개입하지 않음
② 근로자에 대한 책임
㉠ 근로자의 건강보호에 주된 책임 인지
㉢ 위험요인의 측정, 평가 및 관리에 있어서 중립적(객관적)태도
㉣ 정보(위험요소)와 필요한 예방조치에 대해 근로자와 상담(대화)
③ 기업주와 고객에 대한 책임
㉠ 결과 및 결론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정확한 기록을 유지하고, 산업위생산업을 전문가담게 전문부서들을 운영ㆍ관리
㉡ 기업주와 고객보다는 근로자의 건강보호에 궁극적 책임을 두어 행동
㉢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산업위생의 이론을 적용하고 책임감 있게 행동
㉣ 신뢰를 바탕으로 정직하게 권하고 성실한 자세로 충고하며, 결과와 개선점 및 권고사항을 정확히 보고
④ 일반 대중에 대한 책임
㉠ 일반 대중에 관한 사항은 학술지에 정직하게 사실대로 발표
㉡ 적정(정확)하고도 확실한 사실(확인된 지식)을 근거로 전문적인 견해를 발표
(3)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업위생지도사의 직무(업무)
① 작업환경의 평가 및 개선 지도
② 작업환경 개선과 관련된 계획서 및 보고서의 작성
③ 산업위생에 관한 조사ㆍ연구
④ 기타 산업위생에 관한 사항으로서 대통령이 정하는 사항
'산업위생관리 > PART 01 산업위생학 개론 - 산업위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5. 한국의 산업위생 역사 (0) | 2020.08.22 |
---|---|
04. 외국의 산업위생 역사 (0) | 2020.08.09 |
03. 산업위생의 범위 (0) | 2020.08.02 |
02. 산업위생 관리의 목적 (0) | 2020.07.30 |
01. 산업위생의 정의 (0) | 2020.07.21 |